정치/정보

의결, 가결, 부결 뜻과 대한민국 국회 법안 통과 기준

시소게임 2024. 1. 4. 05:50
반응형

정치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용어 중 두 가지, '가결'과 '부결'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두 용어는 정치 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죠.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의결 뜻

議決(의논할 의, 결단할 결) - Resolution

 

"....소상공인보호법 개정안 의결..."

"....정부, ‘확률형아이템 정보 공개’ 국무회의 의결..."

"....공정위 '콜 차단' 동의의결 기각..."

 

 

의논하여 결정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 의결. 국회 의결은 어떤 법률안, 예산안, 정책안 등이 다수의 국회의원으로부터 찬성을 받아 승인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민주주의의 핵심 원리 중 하나로, 다수의 의견을 존중하고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과정입니다. 의결은 국가의 방향성을 결정하고,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여 정책을 만들어 나가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국회 의결은 일반적으로 법안이나 예산안 등이 상임위원회에서 심의되고, 해당 위원회에서 가결된 후 본회의에서 최종 표결이 이루어집니다. 상임위원회에서는 법안이나 예산안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와 수정이 이루어져, 다양한 의견이 수렴되고 협상이 이루어집니다. 이후 본회의에서는 해당 법안이나 예산안이 다수의 찬성을 받으면 최종적으로 통과됩니다.

 

 


 

 

가결 뜻

可決(옳을 가, 결단할 결) - Approved

"....비대 위원장 임명안이 가결되었다..."

"....野 단독처리로 국회 통과…특검법도 가결..."

"....서울시, 보라매지구·신림지구 지구단위계획 가결..."

 

 

가결은 어떤 제안이나 법안이 다수의 찬성을 받아 승인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의회나 회의에서 투표를 통해 다수의 찬성을 얻은 경우 해당 제안이나 법안이 가결됩니다. 이는 민주주의 체제에서 중요한 원칙 중 하나로, 다수의 의견을 존중하고 이를 기반으로 결정을 내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결은 또한 의회나 회의의 합의를 통해 이루어진 것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공론화하는 과정을 거친 결과로 생겨났습니다. 가결된 결정은 일반적으로 법률로 제정되거나, 특정 정책이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는 기반이 됩니다.

 

 


 

 

부결 뜻

否決(아닐 부, 결단할 결) - Rejection

"....내각 불신임안, 여당 등 반대 다수로 부결..."

"....UEFA 자격 박탈 러시아축구협회, AFC 이적 부결..."

"....WHO 총장 "이팔 휴전 결의안 안보리 부결 깊은 유감"..."

 


반면에 부결은 어떤 제안이나 법안이 다수의 반대로 인해 승인되지 못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부결은 종종 특정 의견이나 입장이 현저히 부족하여 이루어집니다. 부결된 제안은 해당 의회나 회의에서는 효력이 없게 되며, 다시 수정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다뤄져야 합니다.

부결은 때때로 토론과 대화가 부족하거나 이해관계자 간의 갈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결된 결정이라고 해서 항상 나쁜 것은 아닙니다. 종종 새로운 의견을 수렴하고 다양한 입장을 고려하는 과정에서 좀 더 효과적이고 균형잡힌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국회(본회의) 통과 기준

우리나라 국회에서의 가결 기준은 법률안이나 예산안 등이 통과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찬성 표를 말합니다. 가결 기준은 국회의 내규 및 헌법에서 정해지며, 다수의 찬성이나 특정 비율의 찬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대한민국 본회의에서의 가결 기준에 대한 주요 내용입니다.

대다수 원칙 (Simple Majority):
대한민국 국회 법안이 통과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의석의 과반수인 151명 이상의 찬성이 필요합니다. 국회는 총 300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법안 표결 시 151명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합니다. 다만, 중요한 법안이나 헌법 개정안 등 특수한 사안에 대해서는 헌법이나 관련 법률에서 찬성 비율에 대한 특별한 규정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특정 법안에 대한 찬성표 수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치용어인 '가결'과 '부결'은 정치적 의사 결정의 핵심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 두 용어는 다양한 정치 상황에서 적용되며, 시민들이 정치과정을 더 잘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합니다.

반응형